[29장] LCD 사용하기 – 패러럴 LCD 디스플레이(8bit모
LCD 사용하기 – 패러럴 LCD 디스플레이(8bit모드)
소개
안녕하세요! IT Insight 블로그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아두이노에서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8bit 모드로 연결된 패러럴 LCD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8bit 모드란?
8bit 모드는 LCD 디스플레이와 아두이노 사이에 8개의 데이터 핀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4bit 모드에 비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더 많은 기능과 표시 영역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복잡한 그래픽이나 긴 텍스트를 표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8bit 모드가 더 적합합니다.
회로 연결하기
패러럴 LCD 디스플레이를 아두이노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회로를 구성해야 합니다.
위의 회로를 참고하여 LCD 디스플레이를 아두이노와 연결해주세요. 데이터 핀(D0~D7)은 아두이노의 디지털 핀에 연결하고, 제어 핀(RS, RW, E)은 아두이노의 디지털 핀에 연결합니다. 또한, Vcc와 GND 핀은 각각 5V와 GND에 연결해야 합니다.
라이브러리 설치하기
아두이노에서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iquidCrystal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합니다. LiquidCrystal 라이브러리는 아두이노 IDE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코드 작성하기
이제 LC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를 아두이노 IDE에 붙여넣고 업로드해주세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include <LiquidCrystal.h> // LCD 핀 설정 const int rs = 12; const int rw = 11; const int en = 10; const int d0 = 9; const int d1 = 8; const int d2 = 7; const int d3 = 6; const int d4 = 5; const int d5 = 4; const int d6 = 3; const int d7 = 2; // LiquidCrystal 객체 초기화 LiquidCrystal lcd(rs, rw, en, d0, d1, d2, d3, d4, d5, d6, d7); void setup() { // LCD 초기화, 16 문자 x 2 줄 lcd.begin(16, 2); // LCD에 텍스트 출력 lcd.print("Hello, LCD!"); } void loop() { //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 없으므로 빈 루프 } |
위의 코드는 LiquidCrysta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LC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예제입니다. 코드를 실행하면 LCD 디스플레이에 “Hello, LCD!”라는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마무리
이제 패러럴 LCD 디스플레이를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8bit 모드를 사용하여 더 많은 기능과 표시 영역을 활용할 수 있으니, 필요한 경우에는 8bit 모드로 연결해보세요. LCD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여러분의 창의력을 발휘해보세요! 더 많은 아두이노 관련 정보를 원하신다면 IT Insight 블로그를 방문해주세요.